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성명]

정부는 여성가족부 폐지철회, 여성가족부 장관 즉시 임명 등 성평등 정책 총괄 부처로서 여성가족부를 강화하라는 CEDAW 위원회의 권고를 조속히 이행하라.

 

()여성, () 성평등 정책 기조를 앞세운 윤석열 정부의 출범 이후 한국 사회의 성평등 정책 추진체계가 급속도로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UN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CEDAW, 이하 위원회)는 지난 63() 9차 한국 국가보고서 심의에 대한 최종 견해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최종 견해에서 한국 정부의 '여성가족부 폐지'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정부의 이러한 정책 기조가 여성의 발전을 위한 법정책적 프레임워크의 파편화와 우선순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여성가족부 폐지내용을 담고 있는 정부조직법개정안 내 해당 내용을 철회하고 여성가족부 장관을 즉시 임명해야 한다는 의견을 분명히 하였다.

 

위원회는 UN 여성차별철폐협약에 가입한 국가를 대상으로 협약 이행 상황을 심의하는 기구로서, 전세계 여성의 인권을 보장하고 성차별을 철폐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위원회의 이번 심의 최종견해는 여성인권에 대한 국제 기준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구조적 성차별 해소를 위해 성평등 정책 전반에 대한 구체적이고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윤석열 정부의 반()여성, () 성평등 정책 기조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가족부 폐지시도에 대해서 국제 사회가 제동을 건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위원회는 이번 심의 최종견해에서 현재 한국 정부가 여성가족부 폐지시도, 여성가족부 장관 임명 실패, 여성·성평등 정책 삭제 및 예산 삭감 등 성평등 정책 추진 체계의 퇴행을 우려하였다. 또한 여성 발전을 위한 국가 계획 및 전략의 설계와 실행에 여성 단체의 참여가 제한적인 것에 대해서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조직법개정안의 여성가족부 폐지 조항 철회 및 지체 없는 장관 임명, 어떠한 조직 개편에서도 여성가족부의 기능을 유지할 것 여성가족부가 모든 정부 부처에서 성주류화 노력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인적, 기술적, 재정적 자원을 대폭 확충하고 직원들의 역량강화에 힘쓸 것 통합적 성인지 예산 프로세스 도입, 여성 권리 증진을 위한 충분한 예산 할당 여성 발전을 위한 국가 계획, 전략 설계와 채택, 실행에 여성단체의 동등한 참여 보장을 권고했다. 특히 성평등 정책 총괄 조정 부처로서 여성가족부의 인적, 기술적, 재정적 자원 확충 및 직원 역량강화에 대한 권고에 대해서는 이행 상황을 2년 이내에 추가로 보고할 것을 한국 정부에 요구했다.

 

이번 위원회 심의 과정에서 드러났듯이 한국 사회에는 대통령 지지도 반등을 위한 국면 전환용 반여성주의적 수사로는 가릴 수 없는 구조적 성차별이 엄연히 존재하며, 성평등이라는 국제 사회의 공동의 지향과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정부 및 정치권의 시정 노력이 절실하다. 지금 당장 여성과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불평등을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성평등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국제 사회의 우려와 권고를 뼈아프게 받아들이고, 그동안의 반여성주의적 기조를 전면 전환하여 여성과 소수자를 비롯한 모든 시민들 동등하게 존중받을 수 있는 성평등 사회를 만들기 위해 모든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다시 한 번 강조한다. 한국 정부는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의 다음 권고를 조속히 이행하라.

 

 

•「정부조직법개정안의 여성가족부 폐지 조항을 철회하고, 지체없이 장관을 임명, 어떠한 조직 개편에서도 여성가족부의 기능 유지

 

여성가족부가 모든 정부 부처의 성주류화를 효과적으로 조정하도록 여가부의 인적, 기술적, 재정적 자원 대폭 확대, 직원 역량강화

 

통합적인 성인지 예산 프로세스 채택, 충분한 예산 할당

 

여성 발전을 위한 국가 계획, 전략 설계, 실행 등에 여성단체의 동등한 참여 보장

 

 

 

202467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와 성평등 정책 강화를 위한 범시민사회 전국행동

 

 

20240607_보도자료_여가부폐지저지전국행동.hwp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Joint Statement - Stop the War in Ukraine! Give Peace A Chance! adminwmp 2022.02.28 1255
70 2022년 3월 3일 평화로운 한반도를 바라는 종교·시민사회 시국선언 adminwmp 2022.03.03 459
69 20240812 [기자회견문] 동두천 옛 성병관리소 철거 저지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발족 file 평화여성회 2024.09.20 405
68 20240604 [보도자료]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 제9차 한국 정부 심의 최종견해에 관한 논평 file 평화여성회 2024.09.20 403
67 20240523 [선언문] 팔레스타인에 대한 학살과 식민지배 종식을 원하는 한국 페미니스트 선언 file 평화여성회 2024.09.20 402
» 20240607 [보도자료] 여가부 폐지 저지 전국행동 성명 file 평화여성회 2024.09.20 401
65 20240524 [발제문] 5·24 웨비나_주한미군의 역사_안김정애 평화여성회 2024.09.20 393
64 [평화여성회 입장문] 성평등한 한반도 구축을 위해 여성가족부 폐지를 반대한다. adminwmp 2022.03.29 372
6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즉각 중단 · 평화적 해결 촉구 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문" adminwmp 2022.02.28 365
62 2021.7.27. 정전협정 68년, 한국전쟁의 종전과 한미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요구하는 여성단체 기자회견문 admin 2021.07.28 363
61 한미연합군사연습 중단,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촉구하는 한국·미국·국제 시민사회 성명 adminwmp 2022.04.05 361
60 [공동성명] 성차별에 무지한 사람이 대통령이 되는 것이야 말로 ‘옛날 얘기’다. 윤석열 후보는 여성들의 현실을 직시하라. adminwmp 2022.02.07 361
59 제11차 세계 일본군‘위안부’ 기림일 맞이 세계연대집회, 제1608차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 성명서 adminwmp 2023.08.09 352
58 종교.시민사회단체 공동입장문 - 20대 대선후보들에게 촉구하는 평화통일 요구안 adminwmp 2022.01.22 346
57 [공동성명] 윤석열 후보의 성인지예산제도에 대한 악의적 오해와 혐오 편승 유세를 규탄한다. adminwmp 2022.02.28 344
56 [시민평화포럼 공동성명] 평화를 원한다면 한미연합군사훈련을 중단하라! wmpadmin 2021.07.28 340
55 [시민사회공동기자회견문] 한국 정부는 아프가니스탄 난민 보호책 마련하라 국제사회는 아프가니스탄 평화 정착을 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하라. adminwmp 2021.08.20 338
54 광복 76주년 한반도 자주평화통일을 위한 8.15대회 추진위원회 발족 선언문(전문) adminwmp 2021.08.12 335
53 2022년 3월 25일 [여성시민사회단체 입장] 여성가족부 폐지 안된다! adminwmp 2022.03.25 334
52 [공동성명] 윤석열 후보의 반(反)페미니즘 선동은 반드시 실패할 것이다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에 부쳐 adminwmp 2022.01.13 3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사)평화를만드는여성회

주소 (07229)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55길 6, 여성미래센터 401호
전화 (02)929-4846, 4847 | 팩스 (02)929-4843
이메일 wmpeace@naver.com



통일부 | 국세청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