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0521 [기자회견] 독일 베를린 시장의 소녀상 철거 시사 발언 규탄 공동 기자회견
독일 베를린 시장의 소녀상 철거 시사 발언 규탄 공동 기자회견 - 일본 정부는 무도하고 악랄한 소녀상 설치 방해와 철거 시도를 당장 중단하라! - - 베를린시는 전시성폭력에 경종을 울리는 여성인권의 상징물, 소녀상 영구 설치를 위해 노력하라! - 1. 정론... -
No Image
20240427 [성명서] 4·27 판문점 선언 6주년, 생명·평화·상생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바라는 여성계 성명서
4•27 판문점 선언 6주년, 생명· 평화· 상생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바라는 여성계 성명서 “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다. 우리는 결코 되돌아 가지 않을 것이다”(문재인 대통령) “우리는 서로 갈라져 살 수 없는 한 ... -
No Image
20240422 [기자회견문] 2024 세계군축행동의 날
2024 세계군축행동의 날(GDAMS) 기자회견문 모두를 위협하는 군사비, 1초에 1억 너무 많아! 사람과 지구를 위해 지금 당장 군비 축소! 전 세계를 뒤덮은 전쟁의 먹구름 속에서, ‘힘에 의한 평화’를 주장하는 군사주의가 점점 강화되고 있습니다. ... -
No Image
20240325 [보도자료] CEDAW 독립보고서 조속 통과 촉구 기자회견
[보도자료] - 국가인권위원회 CEDAW 독립보고서 조속 통과 촉구 기자회견 - 김용원, 이충상 상임위원의 책무 망각과 망언, 더는 두고 볼 수 없다! 국가인권위원회는 CEDAW 독립보고서 조속히 통과시켜라 - 2024년 3월 25일(월) 오후 2시 / 국가인권위원회 앞 ... -
No Image
20240228 [기자회견문] 전쟁을 부르는 모든 군사행동과 적대 행위 중단하고 대화 채널 복원하라!
[기자회견문] 전쟁을 부르는 모든 군사행동과 적대 행위 중단하고 대화 채널 복원하라! 한반도의 전쟁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다. 남북, 북미 간 대화 채널은 모두 끊긴 채 서로를 적으로 규정하며 강 대 강 대치가 장기화되고 있다. 최소한의 신뢰 구축 장치인... -
No Image
20231213 [기자회견문] 평화와 연대를 위한 접경지역 주민, 종교, 시민사회 연석회의
기자회견문 군사충돌을 부르는 적대행동을 당장 멈춰야 합니다 지난 11월 21일 북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해 정부는 <역사적인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이하 9.19군사합의)> 제1조 제3항, 비행금지구역에 대한 합의의 효력을 ... -
No Image
20231123 박민 KBS 사장 규탄·방송법 공포 촉구 공동성명
[박민 KBS 사장 규탄·방송법 공포 촉구 공동성명] 성평등을 퇴행시키고, 공영방송의 가치를 파괴하는 박민 KBS 사장은 즉각 사퇴하라! 공영방송 정치 독립 보장할 방송법 개정안을 즉각 공포하라! 11월 13일 박민 KBS 사장이 취임했다. 박민 사장은 법조... -
No Image
20231121 [기자회견문] 정부가 삭제하고 파괴한 성평등, 국회가 살려야 한다!
[기자회견문] 정부가 삭제하고 파괴한 성평등, 국회가 살려야 한다! 얼마 전 편의점에서 일하던 여성이 머리가 짧다는 이유로 폭행을 당하고, 베트남 이주여성이 남편에게 살해 당했다. 공원에서 여성이 강간·살해 당한 사건이 채 석 달도 지나지 않은 시점이... -
No Image
20231104 [성명서] 이스라엘은 즉각 휴전에 응하고 팔레스타인 민간인 집단학살을 중단하라
[성명서] 이스라엘은 즉각 휴전에 응하고 팔레스타인 민간인 집단학살을 중단하라 이스라엘 점령군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전방위적 공격을 멈추지 않고 있다. 10월 7일 이후 단 27일간 점령군이 학살한 가자지구 주민은 9,061명으로 폭격으로 무너진 건물 ... -
No Image
20231022 [성명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집단학살을 멈춰라
[성명서]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집단학살을 멈춰라 우리는 지금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벌이는 집단학살(제노사이드)을 목도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10월 7일부터 12일 사이에만 가자지구 전역에 6천 발의 폭탄을 투하해 주민 1,417명을 살해했... -
No Image
20230727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선언] 적대를 멈추고, 전쟁을 끝내고, 지금 평화로!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선언 적대를 멈추고, 전쟁을 끝내고, 지금 평화로! 오늘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 70년이 되는 날이다. 3년 간의 전투를 잠정적으로 멈춘 이후 3개월 이내에 “한국 문제의 평화적 해결”위한 정치회담을 개최하기로 했던 전쟁 당사국 ... -
No Image
20230727 [공동성명]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에서 성별영향평가 지표 삭제는 퇴행이다!
[전국 231개 여성시민사회단체 공동성명] 지자체 합동평가 지표에서 성별영향평가 지표 삭제는 퇴행이다! 행정안전부의 성평등 정책 퇴행 시도 규탄한다! 행정안전부 소속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지표개발추진단’은 지난 3일 진행된 1차 분과회의에서 ‘성... -
No Image
20230722 [결의문] 정전 70년 전쟁 위기를 넘어, 적대를 멈추고, 지금 평화로
[결의문] 정전 70년 전쟁 위기를 넘어, 적대를 멈추고, 지금 평화로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을 앞두고 우리는 오늘 여기에 모였다. 전국에서, 세계 곳곳에서 이 자리에 모여 평화의 인사를 나누고 손을 맞잡았다. 우리는 이 땅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갈수록 짙어... -
No Image
20230518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한일 시민사회 각계인사 공동선언(전문)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한일 시민사회 각계인사 공동선언 한일 양국 시민사회의 발전을 바라는 우리는 불행했던 과거를 딛고 서로 이해하며 보다 나은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기 위해 연대해왔다. 우리는 양국 정부가 과거를 직시하며 같은 잘못을 반... -
No Image
20230516 [기자회견문] 윤석열 정부 여성가족부 1년, 시민이 지켜낸 여성가족부, 걸림돌 장관은 빠지고 성평등 실현에 앞장서라!
[기자회견문] 윤석열 정부 여성가족부 1년, 시민이 지켜낸 여성가족부, 걸림돌 장관은 빠지고 성평등 실현에 앞장서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 1년이 되었다. 윤 정부는 출범 당시 국정과제를 통해 ‘상생’과 ‘공정’, ‘약자와의 동행’을 표방했다. 그러나 그... -
No Image
20230510 “윤석열 정권 1년 - 여성시국선언” 여성 인권 후퇴 1년, 우리는 되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20230510 “윤석열 정권 1년 - 여성시국선언” 여성 인권 후퇴 1년, 우리는 되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구조적 성차별은 없다며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삼는 등 여성혐오를 전면에 내건 윤석열 정부의 1년은 여성 인권의 후퇴 그 자체였다. 우리는 성평등 ... -
No Image
20230509 집권 1년, 윤석열 정부 규탄 노동시민사회단체 공동 기자회견문
20230509 집권 1년, 윤석열 정부 규탄 노동시민사회단체 공동 기자회견문 윤석열 정부 집권 1년이 되었습니다. 국민에게는 그 1년이 10년처럼 느껴질 만큼 힘겹고 고달팠습니다.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이 몰고 온 경기침체로 서민들의 삶이 벼랑끝으로 내몰... -
No Image
20230214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행동 출범선언문
정전 70년 한반도 평화행동 출범선언문 한반도 전쟁 위기 해소와 평화 실현을 위해 지금 행동에 나서자 한반도에서 3년간 이어진 참혹한 전쟁의 포성이 멈춘 지 올해로 70년을 맞는다. 지난 70년은 잠정적인 휴전 상태였을 뿐 결코 평화로운 상태는 아니었다... -
No Image
2023 세계군축행동의 날(4월 24일) 기자회견문 - 1분에 56억, 평화와 지구를 위협하는 군사비 지출 이제 그만!
기자회견문 1분에 56억, 평화와 지구를 위협하는 군사비 지출 이제 그만! “K-방산이 대한민국을 넘어 ‘힘에 의한 세계 평화’에 기여할 것을 믿는다.” 지난 17일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방산업체 최고경영자들과 만나 한 말입니다. 지난해 한국은 방산 수출로 ... -
No Image
2022년 국방예산 삭감 촉구 시민사회·정당 공동 기자회견 개최 및 성명서 발표
[2022년 국방예산 삭감 촉구 시민사회·정당 공동 기자회견 개최] 일시 장소 : 11. 09. (화) 오전 10시 40분, 국회 소통관 ‘충분한’ 국방예산을 줄여 ‘중단된’ 남북 대화를 살리고 ‘부족한’ 코로나⋅기후 위기 대응에 사용합시다 남북의 군비 경쟁이 과열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