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r01
국제연대

1. 간략한 회의 역사와 배경

1997년에 오키나와에서 시작된 군사주의에 저항하는 세계여성평화 네트워크’(International Women's Network Against Militarism/이하 네트워크)가 올해로 스무 돌을 맞이하여 제9차 회의가 2017622일부터 26일까지 닷새 동안 오키나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그동안 서울을 비롯하여, 마닐라, 샌프란시스코, 과한, 푸에토 리코 등에서 2년 내지 3년 간격으로 개최되었으며, 이번 회의는 2012년 푸에토 리코 회의 이후 5년 만에 개최되었고, 최초 개최지인 오키나와에서 20년 만에 다시 개최된다는 의미를 지녔습니다. 이로 인해 류쿠 신보 등 현지 언론의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오키나와와 한국은 2차 세계대전 시 전장이었고, 그 결과 방대한 미군기지가 지금까지도 존속하고 있다는 점에서 닮아 있습니다.

오키나와는 슬픈 섬입니다. 2차 세계대전 때 일본 본국 정부는 오키나와를 미군과의 교전에서 본토 방위를 위한 최후 방파제로서 이용하였으며, 주민들을 징집하고 결사항전을 독려하여 전쟁의 총알받이로 이용하면서 심지어는 자결을 강요하기도 했기 때문에 수많은 민간인이 죽어가야 했습니다. 전후에도 오키나와는 일본 본토의 식민지 취급과 미국의 군사기지화 정책으로 인해 전체 국토의 0.6%에 불과한 땅에 75%의 미군기지가 집중되어 있으며, 지금도 나하 시 한복판에 버젓이 자리잡고 있는 미군용 활주로를 볼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출범 계기는 오키나와에서 19959, 세 명의 미군이 초등학교 여학생을 강간한 사건이 발생하자 오키나와 민중의 분노가 폭발하면서 오키나와 평화여성들이 이를 알리고자 미국 본토를 방문하여 전 지역을 돌며 일-미 안보조약의 부당성 등을 알리는 과정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오키나와 여성들이 제기하는 군사기지의 문제점에 공감한 미 본토의 반군사주의 여성들이 연대하고, 이어서 대한민국과 필리핀, 과한(), 하와이, 푸에르토리코 등 미 군사기지가 존재하는 여러 지역에서 뜻을 함께 하면서 국제적인 네트워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전 세계 135개국에 1,000 여 개가 넘는 군사기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20 여 만 명의 군인을 파견하고 있고, 한국과 일본에 각각 28,500명과 39,000 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미 군사기지가 여성인권 침해, 환경 오염, 폭력 문화 조성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킨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 하고 있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과 이슈화를 위해 의견을 나누는 장입니다.


2. 제목과 지역별 참가 현황

이번 회의의 큰 제목은 군사주의에 저항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만들기”(Challenging Militarism and Creating a Sustainable Future), 소그룹별 토론제목은 1) 군대와 성폭력(Military and Sexual Violence) 2) 탈식민지화와 경제적 자립(Decolonization and Economic Autonomy) 3) 군사주의에 저항하기(Challenging Militarism) 4) 군사기지와 환경파괴와 보존 문제(Military Bases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Protection of Environment) 5) 안보 개념의 재정의(Redefining Security/Laws and Agreements) 로 제시되어 소그룹별로 나뉘어 심층적인 토의가 이루어졌습니다.

 

한국을 비롯하여 푸에르토리코, 과한, 필리핀, 하와이, 미국, 오키나와, 일본 본토 등 총 8개 국가와 지역에서 총 30 여 명의 외국인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되었습니다.

평화여성회는 초창기부터 멤버로 참여하였고, 이번에도 기지촌여성인권단체인 두레방, 햇살사회복지회와 강정평화 지킴이, 전쟁없는세상,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등과 함께 총 10명의 한국대표단의 일원으로 신민시, 안김정애 두 사람이 참여하였습니다.

 

3. 일정

622 오전에는 미리 참석한 참가자들을 중심으로 오키나와 현청 공보실에서 류쿠신보, 오키나와 타임즈 등의 언론과 이번 회의의 목적과 내용 등을 중심으로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각 국의 군사문제를 이야기하면서 한국의 경우 현재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되어 있는 THAAD 배치 반대 투쟁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오후에는 오키나와 독립운동을 한 개인 박물관을 방문하여 관람하였습니다

저녁에는 오키나와 전통무용 관람과 참가자들 소개가 있었습니다. 한국 대표단은 기타 반주에 맞추어 바위처럼을 부르며 열심히 율동을 하였고 우리의 역동적인 움직임은 큰 박수를 받았습니다. 이후 회의 중간중간에 바위처럼은 많이 불리워지고 율동을 배우고자 하는 외국 참가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623 오전에는 현재 한국 기지촌 여성문제를 다룬 이고운 감독의 ‘Host Nation'이 상영되었습니다. 한국의 현재 기지촌은 주로 필리핀 여성들로 채워지고 있는데, 유흥비자를 둘러싼 한국 브로커와 필리핀 현지 여성 조달 브로커를 3년 여에 걸쳐 추적한 다큐영화입니다. 한국대표단으로 참가한 이고운 감독의 설명과 이후 간간이 이어진 촬영 당시의 비하인드 스토리 듣기는 기지촌 여성의 문제가 아직도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음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했습니다. 미 군사기지가 존재하는 전 세계 모든 지역에서 기지촌 문제는 아주 보편적인 여성인권문제일 수 밖에 없음도 깨달았고요.


영화 상영 직후 오키나와 전쟁 종료일(1945623) 추도행사를 위해 마부니 평화공원을 향해 떠났습니다. 가는 중간에 버스 안에서 주최 측으로부터 오키나와의 전후 역사와 좌우에 보이는 미 군사기지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끝없이 이어지는 미군기지의 배치와 그 안에 자리잡은 미식 건물들은 한국 땅과 다를 게 없어 보였습니다.


photo6264609998134945750.jpg


평화공원에는 어린 학생들도 많이 보였습니다. 다시는 참혹한 전쟁을 되풀이 하지 말자는 다짐과 교훈을 뙤약볕 아래서 나누는 것을 보니 평화교육의 필요성을 새삼 절감했습니다. 간단한 의식을 마치고 공원 한 가운데서 열리는 종전 기념 행사를 참관하였습니다. 우리 각 지역 대표단은 우리가 왜 오키나와에 와 있는지, 우리의 바램은 무엇인지를 오키나와 사람들에게 이야기 하고 다시는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계를 원한다고 발언하였습니다. 우리가 가지고 간 플래카드를 보여드리면서요.

군사주의 반대, 여성의 힘으로 만드는 평화, No Militarism Yes Peace" "군사기지는 진정한 안보를 보장할 수 없다” “바다를 건너 온 우정과 연대 : 우리는 함께 일어난다, 외친다, 군사주의에 저항한다


오키나와 대학 세미나실로 돌아 와서 오키나와 역사에 대한 미 국립문서보관소 자료 영상을 보았습니다. 미국의 시각에서 만들어지긴 했습니다만 오키나와 전쟁의 잔인함과 참혹함을 당시 기록 영상을 통해 그대로 볼 수 있었습니다. 이후 1차 지역보고서 발표가 있었고, 각 대표단은 택시를 타고 숙소로 돌아왔습니다.

 

624 오전에는 헤노코 신기지 건설 현장을 방문하였습니다. 계속되는 군사기지 건설에 20년째 반대투쟁을 하고 있는 오키나와인들의 꾸준한 투쟁의 힘에 경의를 표하며 우리 대표단도 배에 올라 현장 가까이까지 가서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쳤습니다 방위국은 작업을 지금 중단하라” “헤노코 기지 건설 결사반대일본 해상자위대와 경찰은 계속 우리 옆을 맴돌며 촬영과 경고 방송을 내 보냈습니다. “듀공을 구하라(Save the Dugongs)"는 플래카드를 들고 카약을 타고 기지현장으로 떠났던 수십 명의 시위대는 해상자위대에 체포되어 1시간 동안 억류 후 풀려 나기도 했습니다. 육상 현장도 방문하여 힘 내시라 전해 드렸습니다.


돌아오는 길에는 전직 미 해병대원의 오키나와 여성 납치, 강간, 살해 현장을 방문하여 추념식을 가졌습니다. 미 군사주의에 의해 희생되는 여성은 어느 나라에나 있었고 우리나라의 기지촌 여성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 위에 포개지는 유사한 그림은 작년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강남역 여성 혐오 살해 사건이었습니다. 군사주의와 여성의 불안/비안보는 밀접히 연관되어 있지요.


오후에는 1) 군사주의와 성폭력 2) 탈식민지화와 경제 자립 3) 군사주의에 대한 저항 4) 군사기지와 환경문 5) 안보의 재정의 등 5개의 비공개 그룹 토론이 있었습니다. 참가자들은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주제를 선택하여 참여하였으며, 각 지역이 처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 무엇을 할 것인가 등을 논의하였습니다.

 photo6264609998134945751.jpg

photo6264609998134945749.jpg



625오전에는 오키나와 대학에서 지역보고서 공개 발표가 있었습니다. 오키나와 인들과 현지 언론, 도쿄 타임즈 등 여러 언론사가 참석한 가운데 처음 순서로 대한민국 보고서가 발표되었습니다. 마침 625일은 한국전쟁 발발 67주년이 되는 날이었고, 122명의 기지촌 여성들이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지 3년째 되는 날이었습니다


2012년 푸에르토리코에서의 8차 회의 이후 최근까지 여성들의 평화운동사를 정리한 것으로, 우선 작년 10월말부터 있었던 촛불시민혁명5월 대선, 그리고 새로운 민주정부에 대한 기대 등을 소개하였고, 이어서 차례로 1) 탄저균 반입 반대 2) 강정기지 건설 반대 3) 한일 위안부합의 반대 4) 미군 위안부국가배상 소송 5) 사드배치 반대 6) 유엔결의안 1325 입법화 및 국가행동계획 수립 촉구 7) 여성평화걷기 등을 소개하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원하는 것은 “No THAAD, No Nukes, Peace Treaty"라는 호소로 발표를 마쳤습니다


이어지는 과한, 필리핀, 하와이, 푸에르토리코 등의 지역보고서들에서는 여전히 미 군사기지의 폐해와 군사주의 문제, 국방비 문제, 지배층의 친미행태, 환경파괴 문제, 여성에 대한 성폭력과 인권침해 문제, 선주민의 자유와 독립 문제 등이 제기되었습니다.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문제들을 바라보며 마음이 착잡했습니다. 그나마 기쁜 소식은 푸에르토 리코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35년간 미국 감옥에 갇혀 있던 독립운동가가 석방되었다는 것이었습니다. 2012년 회의 때 그를 위한 성명서를 작성하고 각국 대표들이 서명을 했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오바마가 퇴임하기 직전에 내린 결정이었다고 하네요. 특정인의 자비에 기댄 석방이 과연 기쁘기만 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래도 우리의 평화의 외침이 무용지물이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하고 앞으로도 꾸준히 이런 운동은 계속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어 점심시간에는 강정마을의 기지건설 반대 평화투쟁을 담은 스물 다섯 번째 시간영상물 상영이 있었습니다. 어려운 상황에도 꿋꿋이 낙천적으로 강정마을을 지켜내고 있는 평화활동가들의 행동과 육성을 영상으로 보고 들으며 여러 나라의 활동가들도 깊은 공감을 나타냈습니다.


오후에는 공개 그룹 토론이 열려 624일에 있었던 비공개 그룹 토론을 이어 갔습니다. 일반 남성과 기자들도 참여하여 24일보다 커진 그룹토의를 이어갔고, 주로 오키나와 현지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각국 대표단이 듣는 형편이었습니다. 저녁에는 마지막 밤을 아쉬워하며 뒷풀이 시간을 가졌습니다. 우리 대표단은 다시 바위처럼을 열창하며 신나는 율동으로 아쉬움을 달랬습니다. 서로 기념품과 감사의 인사말을 나누는 자리이기도 했지요.


626 오전에는 전체 평가 및 행동계획 토론이 있었고, 오후에 발표할 전체 성명서를 다듬고 수정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후 3시에는 첫 날 기자회견을 가졌던 현청 공보실에서 2차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각 대표단이 감사의 마음을 담아 그동안 수고한 오키나와 주최 측에 커다란 헝겊그림을 선물하는 것을 시작으로, 류쿠 신보, 오키나와 타임즈, 도쿄 타임즈 등 언론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기자회견은 성명서 발표와 질의 응답으로 이어졌고, 이는 20년간의 전 세계 평화여성들의 미 군사주의 반대를 정리하는 자리로서의 감회를 갖게 했습니다. 현청 로비에서 마지막 작별인사를 하는 시간은 숙연하고 뭉클하고 아쉽고 섭섭했습니다. 그래도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며 우리가 평화의 연대로, 자매애로, 반군사주의로, 인류애로 끈끈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며 한 마디씩 하고 싶은 말, 덕담을 나누었습니다-평화, 인권, 자유, 평등, 자존감, 신뢰, 우정, .....


귀국하는 비행기에서 이제 다시 시작이다를 외치며, 우리 여성들의 평화를 염원하는 힘으로 이 땅 한반도와 전세계에 평화의 기운이 깃들기를 기원하였습니다

 

photo6264609998134945747.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UN안보리 결의안 1325채택 15주년 기념 심포지엄 평화여성회 2015.11.23 1764
공지 여성.평화.안보에 대한 UN 안보리 결의 1325호 (국문 및 영문) [917] 평화를만드는여성회 2009.09.14 147596
» 오키나와 회의(9th International Women's Network Against Militarism) 참관기 file 평화여성회 2017.07.06 149
74 2016.11.14~16. 울란바타르 프로세스 회의 참가기 평화여성회 2016.11.18 193
73 2016 여성지위위원회 회의(CSW)를 다녀왔습니다 file 평화여성회 2016.04.25 351
72 [국제세미나 자료집] 누가 전쟁으로 돈을 버는가? 전쟁산업에 맞서기 위한 저항의 방법들 평화여성회 2016.02.03 394
71 Launch of the Ulaanbaatar Process for dialogue and Peace in Northeast Asia 평화여성회 2015.07.23 700
70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간담회 자료집 file 평화여성회 2015.07.23 746
69 GPPAC Northeast Asia Statement on the Occasion of the Global Day of Action on Military Spending 평화여성회 2015.04.21 1017
68 <국제워크숍: 한반도 화해협력과 동북아 무장갈등 예방> 자료집 file 평화여성회 2014.06.18 1678
67 GPPAC 국제사무총장 6.15 14주년 기념대회 연대사 file 평화여성회 2014.06.18 1982
66 The National Action Plan of the ROK for the Implementation of UNSCR 1325 file 평화여성회 2014.06.25 1993
65 「国連安保理決議第1325号履行のための大韓民国『国家行動計画』」採択に対する<1325号ネットワーク>声明書 file 평화여성회 2014.06.27 3089
64 1325 Network Statement on ROK National Action Plan on UNSCR 1325 file 평화여성회 2014.06.27 4313
63 20020729 ('00)밀레니엄 포럼 보고서 평화를만드는여성회 2009.09.14 4463
62 Final Document of GPPAC NEA International Conference: “Dimensions to create a Nuclear-Weapon Free Northeast Asia” file 평화여성회 2014.12.04 4521
61 20050810 세계행동의제(Global Action Agenda)의 주요 내용 [4] file 평화를만드는여성회 2009.09.14 4994
60 20020729 [반전자료]필리핀여성들의 성명서 평화를만드는여성회 2009.09.14 5017
59 20020923 랜달 케서린 포스버그(미 방위군축연구소 소장)와 간담회 평화를만드는여성회 2009.09.14 5038
58 20021114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여성보고서 file 평화를만드는여성회 2009.09.14 5293
57 20021114 헤이그세계평화회의 참관기 file 평화를만드는여성회 2009.09.14 536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