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r01
평화 글쓰기
 

평화글쓰기 : 장례식에 관한 고정관념

 

                                                                                                              홍승희(평화여성회 웹진 편집장 )


 

얼마 전 70년대를 풍미하던 대중음악인들이 TV 예능 프로그램에 나와 지난 시절을 얘기하고 귀에 익은 음악을 끊임없이 들려주는 모습을 봤다. 송창식, 윤형주, 김세환, 조영남. 금지곡에 얽힌 얘기도 오가며 새삼 그때와 오늘을 대비해보는 시간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보다는 오랜 기간 연습을 통해서도 얻기 힘든 화음이 자연스레 우러나고 마치 아이들이 좋아하는 장난감을 갖고 신나서 놀 듯 음악을 즐겁게 놀고 있다는 느낌을 전해주는 편안함이 인상적이었다. ‘연륜이란 이런 것이다’라고 말하듯 그들의 음악과 대화에는 자유로움이 있었다.

그런 중에 자신의 장례식을 위해 노래를 녹음했다는 조영남이 그 배경을 설명하는 대목에서는 웃음이 폭발했다. 가수가 죽으면 가수장이 치러지고 그때마다 고인의 대표곡을 문상객들이 함께 부르며 관을 떠나보내는 관례가 있는데 그 대표곡을 부르는 문상객들로서는 웃음이 나오는 것을 참기 어렵더라는 얘기를 사례를 들어가며 소개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죽으면 부를 노래가 “구경 한 번 와보세요...”라고 화개장터를 부를 테니 문상객들이 어떻게 웃음을 참겠느냐는 얘기였다. 그런 저런 얘기에 보고 있는 시청자로서 나도 모처럼만에 맘껏 웃어보았다.

문득 예전 작고한 코미디언 서영춘의 장례식에서 생전 고인의 코미디가 식장에 소개되면서 문상객들이 웃지도 울지도 못하는 상황을 겪었다는 기사를 본 기억이 떠올랐다. 그러면서 “가수든 코미디언이든 생전에 남을 웃기고 즐겁게 하다 간 이들의 장례식에서 그들의 생전을 떠올리면서 웃지 않고 즐거워하지 않는 것이 과연 고인에 대한 예우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과연 장례식에서 문상객들은 무조건 엄숙하고 숙연해야 하며 슬퍼해야만 하는 걸까”라는 의문도 뒤따랐다. 이건 그저 고정관념일 뿐인 것은 아닌가 싶은 것이다.

물론 많은 경우 장례식은 울음바다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특히 어린이나 젊은이가 부모 앞에서 사망했을 때 그 연유가 어떠한지를 떠나 예로부터 참척이라 해서 불행 중에도 큰 불행으로 여겼던 만큼 이런 장례식에서는 그 누구라도 웃고 떠들 마음이 들지는 않을 듯하다.

하지만 비교적 행복하게 살다 너무 이르지 않은 시기에 평화롭게 세상을 떠난 분들이나 앞서 예를 들었듯이 평생 남을 즐겁게 하기 위해 노력하다 세상을 떠난 이들이라면 그분들을 위해서도 너무 엄숙하기만 한 것은 오히려 결례가 아닐까 싶다. 아쉬움이 클 남은 가족들은 위로 받을 만하나 그렇다고 슬픔이 꼭 눈물바다를 이루어야 할 일도 아닐 성싶다.

예로부터 우리의 장례 풍습은 울음조차 적정선을 넘지 않도록 조율했다. 상주가 너무 울어 기진할까 싶어 때에 맞춰, 격식에 맞춰 울도록 했다. 계속되는 조문에 맞게 울음이 나오기 힘들 수도 있는 상주가 격식에 맞춰 곡을 하면 그래도 힘이 덜 들고 남들 보기에 민망하지도 않은 잇점이 있었다.

그러나 조문객-지금과 같은 형식적 조문객이라기보다 장례를 돕기 위해 모인 동네 이웃이나 약간은 촌수가 벌어지는 친척이라면 오히려 장례식장을 떠들썩하게 잔치판으로 만들 의무가 있었다. “호상이야. 호상에 너무 울면 못써.”라고 상주를 위로하고 먹고 마시고 놀음판도 슬쩍 벌이며 상주와 함께 밤을 새운다.

이는 실상 돌아가신 분은 하늘에서 온 존재로 다시 하늘로 돌아가시는 길이니 이별은 안타깝지만 마냥 슬픈 일만은 아니라는 인식이 예로부터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우리는 조상이 죽으면 신이 되고 그 많은 조상신들은 하느님 한분으로 돌아간다는 바탕신앙이 있었으니까. 오랜 세월 여러 외래종교들이 들어오며 이즈음엔 그런 신앙관도 뒤죽박죽되어 버리긴 했지만.

그러니 엄숙하기만 한 장례식 풍습은 우리 전통도 아니고 돌아가신 분에 따라서는 뜻밖의 결례를 범하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죽음은 슬픈 것이라고 너무 일률적으로 몰아가는 것은 아무래도 자연스러운 일은 아닌 성싶다.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 단 하나의 정답만 있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자유’를 저마다 입맛대로 해석하는 사회라 해도 그 어떤 자유와도 부합돼 보이지는 않는다.

 

DSCN1080a.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Weigh Anchor for the ‘Civilian Six-Party Talks’ in Beijing [486] 평화여성회 2011.04.12 28687
81 버들길에서 : 분단비용 통일비용 - 홍승희 [146] file 평화여성회 2010.09.16 24155
80 <2010 동북아여성평화회의>를 맞이하며 - 정경란(동북아여성평화회의 추진위원회 코디네이터) [176] file 평화여성회 2010.09.16 20439
79 “기지촌 여성은 정전체제 최대의 피해자”-여성과 정전협정 60년 학술토론회 [324] 평화여성회 2013.07.08 19632
78 힘의 대결의 참상으로 얼룩진 오늘 [87] file 평화여성회 2011.08.24 15919
77 "여성들이 평화의 조성자로 참여해야" [381] file 평화여성회 2013.05.24 13004
76 히로시마, 체르노빌, 후쿠시마를 넘어 [16] 평화여성회 2012.01.12 12955
75 유엔 안보리 결의안 1325 채택 10주년 맞아 촉구 [1] file 평화여성회 2010.10.21 12259
74 ‘회복적사법 조정자’ 양성 프로그램 가보니… 갈길 먼 제도화 교육 받아도 무용지물 [11] 평화여성회 2010.03.04 11798
73 모범회원상을 받고서... 김영진(갈등해결센터 청소년교육팀장) file 평화여성회 2010.02.08 11345
72 더욱 즐겁게 평화를 노래하자~ 평화여성회 2010.07.26 10572
71 평화교육은 김대중 대통령의 유업이다. 평화여성회 2009.09.14 10450
» 평화글쓰기 : 장례식에 관한 고정관념 file 평화여성회 2010.10.28 10056
69 “여성, 정전협정 60년을 말하다” <기고>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여성과 정전협정 60년’ 학술토론회 [66] 평화여성회 2013.07.08 9997
68 선·후배 관계 평화여성회 2010.06.24 9587
67 동북아여성평화회의 참가자들 DMZ 방문-6자회담에 ‘여성’ 목소리 넣어라 평화여성회 2010.10.21 9454
66 "여성, 분쟁지 평화구축에도 중요 역할" -브로나 하인즈 북아일랜드여성연합 공동창립자 평화여성회 2010.10.11 9449
65 12년동안 평화과외 선생님, 김대중 전 대통령을 기억하며 평화여성회 2009.08.31 9429
64 활동을 통해, 일상을 통해 평화로 이르는 길 : 여혜숙 [1] 평화여성회 2010.09.19 9332
63 김윤옥 전이사장님 회... file 평화여성회 2009.12.07 932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