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r01
평화 글쓰기
“기지촌 여성은 정전체제 최대의 피해자”
여성과 정전협정 60년 학술토론회

"기지촌은 이 시대의 정신대"
여성 시각의 ‘안보’ 개념 재정의해야

▲ 1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여성과 정전협정 60년 학술토론회에서 안정애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공동대표가 발제를 하고 있다.

외국인들(미군) 상대하는 사람들이 참 그 피해를 많이 봐.… 그래서 색시들 참 많이 죽어. 목눌러 죽이고 두들겨 패서 죽이고. 우리는 죽으면 신문에도 안 나와. 라디오에도 텔레비전에도 안 나오고. 그까짓 거 양색시, 양공주 죽으면 뭐 좋지 않게 인정들 하니까, 우리나라 지키고 가정 지켜준 생각은 안 하고 양갈보니 뭐 욕을 하고 가고 그랬다고 그 전에.” (기지촌 여성 신모씨의 증언)

 

정전협정 60주년을 맞아 한반도 평화와 여성의 역할을 고민하는 학술토론회에서 정전체제의 최대 피해자로서 기지촌 여성들의 삶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평화를만드는여성회 부설 한국여성평화연구원은 1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여성과 정전협정 60주년 학술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주한미군범죄근절운동본부 안정애 공동대표는 “기지촌 여성들이 한때는 ‘산업역군’이자 ‘민간 외교관’으로서 한·미 친선에 대리 역할을 한다는 칭찬을 받았으나 현재 한국 사회의 냉대와 경멸, 소외 속에서 가난하고 외롭게 살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미 양국은 기지촌 여성들을 양국의 안보 이해 증진이라는 명분으로 사용했으며,

이는 이들 여성에 대한 국가의 억압과 착취를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1945년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기지촌에는 ‘가족의 생계’를 부양해야 했거나 ‘먹고 잘 곳이 없어’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었던 빈곤한 여성들이 유입됐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1960년대 초 의정부

주민 중 60%가 어떤 형태로든 미군을 위한 일에 종사했으며, 송탄의 경우 1970년대 후반, 약 2500명의

 ‘매춘 여성’을 비롯해 6만 명의 주민 중 80%가 미 군대로부터 벌어들인 수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주한미군을 계속 주둔시키기 위해 기지촌의 존재는 불가피한 것이 되었고, 닉슨 독트린으로 주한미

군의 철수가 가시화되고 미국측의 요구 제기되자 1971년부터 1976년까지 5년간 정부 주도로 '기지

촌 정화운동'이 벌어졌다.

 

안 대표는 "이 시기 한국정부는 이들을 '민간외교관'으로 추켜세우면서 한국 안보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재확인하려는 필사적인 노력을 했고, 기지촌정화대책을 입안, 주한미군의 주둔을 필사적으로 연장시키

려 했던 바를 입증하는 일련의 공문서는 '국가가 포주'였음을 입증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기지촌

형성은 주한미군의 무차별적인 여성강간과도 무관한지 않다"며 "한국전쟁에 자유와 민주주의 수호라는

명분으로 밀려들어 온 미군의 범죄행위를 막아낼 수 없었던 힘없는 나라의 여성들이 저리품을 대신해서

희생된 역사였던 것"이라고 일갈했다.

 

토론자로 나선 권인숙 명지대 교수는 “일제강점기 정‘신대·위안부’와 같은 이름으로 불리면서 미군 위안

부로 일했던 수많은 성매매 여성의 삶은 늘 전쟁, 군사기지와 관련해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며 “정신대·위

안부 여성과는 달리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나 지원이 전혀 없는 점도 한국 사회의 정전협정의 한 특성

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안 대표는 “여성이 더 이상 안보영역에서 피해자로 남지 않기 위해서는 ‘안보’ 개념을 여성 중심의 시각에서

재정의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갈등 해결자, 평화주의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3 여성신문의 약속 - 여성이 힘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245호 [사회] (2013-07-04)
김수희 / 여성신문 기자 (ksh@womennews.co.kr)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Weigh Anchor for the ‘Civilian Six-Party Talks’ in Beijing [486] 평화여성회 2011.04.12 28687
81 버들길에서 : 분단비용 통일비용 - 홍승희 [146] file 평화여성회 2010.09.16 24155
80 <2010 동북아여성평화회의>를 맞이하며 - 정경란(동북아여성평화회의 추진위원회 코디네이터) [176] file 평화여성회 2010.09.16 20439
» “기지촌 여성은 정전체제 최대의 피해자”-여성과 정전협정 60년 학술토론회 [324] 평화여성회 2013.07.08 19632
78 힘의 대결의 참상으로 얼룩진 오늘 [87] file 평화여성회 2011.08.24 15919
77 "여성들이 평화의 조성자로 참여해야" [381] file 평화여성회 2013.05.24 13004
76 히로시마, 체르노빌, 후쿠시마를 넘어 [16] 평화여성회 2012.01.12 12955
75 유엔 안보리 결의안 1325 채택 10주년 맞아 촉구 [1] file 평화여성회 2010.10.21 12259
74 ‘회복적사법 조정자’ 양성 프로그램 가보니… 갈길 먼 제도화 교육 받아도 무용지물 [11] 평화여성회 2010.03.04 11798
73 모범회원상을 받고서... 김영진(갈등해결센터 청소년교육팀장) file 평화여성회 2010.02.08 11345
72 더욱 즐겁게 평화를 노래하자~ 평화여성회 2010.07.26 10572
71 평화교육은 김대중 대통령의 유업이다. 평화여성회 2009.09.14 10450
70 평화글쓰기 : 장례식에 관한 고정관념 file 평화여성회 2010.10.28 10056
69 “여성, 정전협정 60년을 말하다” <기고> 한국여성평화연구원, ‘여성과 정전협정 60년’ 학술토론회 [66] 평화여성회 2013.07.08 9997
68 선·후배 관계 평화여성회 2010.06.24 9587
67 동북아여성평화회의 참가자들 DMZ 방문-6자회담에 ‘여성’ 목소리 넣어라 평화여성회 2010.10.21 9454
66 "여성, 분쟁지 평화구축에도 중요 역할" -브로나 하인즈 북아일랜드여성연합 공동창립자 평화여성회 2010.10.11 9449
65 12년동안 평화과외 선생님, 김대중 전 대통령을 기억하며 평화여성회 2009.08.31 9429
64 활동을 통해, 일상을 통해 평화로 이르는 길 : 여혜숙 [1] 평화여성회 2010.09.19 9332
63 김윤옥 전이사장님 회... file 평화여성회 2009.12.07 9323

TOP